위안부 할머니는 사업 아이템?

진보 운운, 약자이용 사리사욕 챙기기 이제 그만, 역겹다
기사입력 2020.07.09 15:20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위안부 운동, 시민 단체에 맡기지 말고 국가가 주도해야
위안부 문제, 이념 진영 논리로 접근해선 안돼
 
 
얼마 전 이용수 할머니는 사죄 배상은 무엇 때문에 하는지 알아야 할 것 아닌가.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이 친하게 지내면서 올바른 역사 공부를 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억울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를 해결해 줄 사람은 우리 학생들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는 현재 위안부 운동이 수요집회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태에서 향후 방향성을 모색케 하는 의미 있는 제안이다.
사실 지금까지 윤미향 민주당 국회의원을 비롯한 진보 운동가들은 수요집회 같은 보여 주기식 집회에 집중했다. 즉 일본에 대해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선명성 운동을 강조하면서 외연과 상징권력을 키우는데 몰두했다.
따라서 위안부 운동의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는 이용수 할머니의 제안은 정곡을 찌른 것이다.
바야흐로 더 이상 특정세력이 위안부 운동을 주도하거나, 이 운동이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위안부 문제는 우리 민족과 세계가 필히 해결해야 할 전시 여성 인권의 문제이며 역사 왜곡의 문제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위안부운동에 대해 진지한 고민이 절실하다.
그렇다면 앞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첫째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의 대결 구도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의 우애와 연대에 관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할머니는 일본과 한국은 이웃나라다. 이 학생들이 결국은 그 나라 주인이다. 그러니까 이 학생들이 알아야, 뭐 때문에 사죄, 배상을 하라고 하는지 알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즉 역사교육에 방점을 찍었다.
일제에 의해 크게 상처 입은 장본인으로서 가장 절박하게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고 가장 객관적인 눈으로 실효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제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로 하여금 일제가 만든 왜곡된 역사가 아니라 전 세계가 인정하는 객관적 사실을 교육할 때이다. 할머니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를 거론하고 있다. 하나는 위안부와 일제 폭력에 대한 교육을 위한 제대로 된 박물관의 건립이고 다른 하나는 일본과 한국의 학생들에 대한 정확한 역사 교육과 상호 교류를 통한 우애와 연대의 증진이다.
이런 대안은 코로나 이후의 세계관, 즉 적대적 관계가 아닌 협력적 국제 관계의 대안으로서도 중요하고 일본의 극우세력을 약화시키는 전략으로서도 매우 적합하다.
왜냐하면 일본의 극우세력은 극우답게 ’(경제력, 무력)을 숭상하는데 우리나라보다 일본이 강국이므로 절대로 위안부 폭력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현재 윤미향과 함께하는 진보적 엘리트들은 계속해서 일본에 대해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면서 그들의 상징적 권력만 키워왔다. 이런 답답한 상황에서 이용수 할머니의 구상은 일본과 한국에서 자라나는 어린 세대에 의해 극우 파시즘을 밑에서부터 와해시키려는 전략으로 매우 타당하다.
문재인 정부는 이용수 할머니에게서 배워야 한다. 일본과의 미래지향적인 갈등 해결의 전략 구상과 함께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또 이 연장선에서, 약자에 대한 우애와 연대의 가치로 국정운영의 초점을 전환하므로 우리나라에서 거의 매일 일어나는 갑의 횡포와 하청 노동자들의 생명의 희생도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위안부 문제는 특정 단체나 진보운동가들이 아니라 국가적으로 다뤄져야 한다. 진보운동가들이 기득권층과 은밀히 연대해 자신들만의 권력을 강화하면서 그들이 무기로 삼았던 약자를 배제한다는 것은 결국 약자를 이용했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입으로는 약자의 대변자처럼 평등을 외쳤지만 극한의 특권과 편법을 누렸던 조국 사태는 진보 운동가들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다. 특권은 선량한 국민에게 구조적 폭력으로서 작용한다.
즉 우리 사회를 분열과 갈등 사회, 그들이 위한다고 말했던 약자를 결국 배제하는 권력 지상주의나 특권 계급 사회로 만든다.
또 기존의 기득권층처럼 진보 세력이 기득권화되면서 특정 세력을 위한 이익집단화, 정치화하므로 객관성을 잃고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게 근본적인 문제이다.
이런 가운데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게 만들어준 사람은 이 사회의 고통 받고 있는 약자 그룹(하청 노동자, 소외계층, 위안부 할머니 등)에 있던 이용수 할머니였다.
그들은 당사자로서 어떤 이권이나 정치적 목적 없이 순수한 눈으로 문제의 핵심에 접근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의연과 과거 정대협 위주로 구성되었던 위안부 할머니 지원 활동들이 과연 국민이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진행돼 왔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또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 이후에 그것이 파기되는 과정 속에서도 지금 문재인 정부가 항상 주장했던 더 나은 합의를 현재 어떻게 진척시키고 있는지도 두드려 볼 대목이다.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가 다수가 보기에 불만족스러운 합의를 했다는 게 문 정부의 원래 주장이었으므로, 그렇다면 개선 방향으로 지금 과연 어떤 절차들이 진행되고 있고 그것이 정부 단위에서 또 시민단체별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할머니들이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실, 대립 구도는 그들 리더 그룹의 권력은 키웠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일본과의 관계만 악화시켰을 뿐이다. 즉 전 국민이 피해자가 된 셈이다.
이 문제는 이념이나 진영 논리로 접근해선 안 된다.
만일 할머니의 기자회견이 친일파의 수작이라면 이용수 할머니가 친일파와 한패라는 이야기밖에 안 된다. 진영논리로 해석하면 결코 위안부 문제의 해결 방안이 나오지 않는다.
할머니들이 모두 연로하셨기 때문에 이분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최소한 해결을 봐야 되는 문제이다.
그리고 현재의 운동 방향, 수요 집회나 일본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수요 집회에 참가하신 할머니들까지도 실효성에 의문을 갖고 또는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이번 기회에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하고, 일정 단체가 아닌 전 국가적으로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 국제적, 역사적 문제를 특정 단체에 맡긴 결과 온갖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후원금 지원금의 회계공시 누락, 개인 계좌 입금, 안성 쉼터 고가매입 등이다. 지금 이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생겼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수치스러운 일이다.
또 위안부 관련 돈을 자기들 취향대로 양심수 석방, 제주 해군기지 반대 운동 등 단체에 지원했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 목적 외 지출을 금지하는 장치도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 무엇보다 위안부 운동을 정의연 등 특정 단체가 주도하는 것을 재검토해야 한다.
진보와 보수, 친일과 반일 등 이념 갈등을 초래하는 구도와 방향을 종식시켜야 한다. 의혹 제기에 대해 여당이 윤 당선인을 두둔하거나 친일 프레임을 씌우는 것은 너무도 크게 잘못된 것이다.
지금처럼 특정 집단이나 이념에 함몰될 경우 또 다른 갈등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앞으로는 국민적 공감대를 기반한 투명한 공적 기관이나 단체가 주도해야 한다. 진정으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평생 한을 위로하고 진정한 쉼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속히 마련해야 한다.
구약성경 암몬서에 보면 이런 말씀이 나온다.
너희의 허물이 많고 죄악이 중함을 내가 아노라 너희는 의인을 학대하며 뇌물을 받고 성문에서 궁핍한 자를 억울하게 하는 자로다오늘날 특권화 되고 기득권화된 진보인사들이 곱씹어 볼 말씀이리라.
 
 
<저작권자ⓒe뉴스한국 & www.enkorea.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BEST 뉴스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27653
 
 
 
 
  • e뉴스한국(http://enkorea.kr)  |  설립일 : 2003년 6월 20일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98 부산 YWCA 304호
  • 발행인 : 박수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정
  • 사업자등록번호 :  605-90-93848
  • 대표전화 : 051-462-5495 [오전 9시!오후6시 / 토, 일, 공휴일 제외(12시~1시 점심)]  |  메일주소 : enews88@hanmail.net
  • Copyright © 2007-2009 enkorea.kr all right reserved.
e뉴스한국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